신살(神煞)은 사주팔자에 있어서 두 천간·지지 간의 특수적인 관계를 말한다. 신살은 신(神)과 살(煞)을 합친 합성어인데, 신은 마치 귀신같이 좋은 일이 벌어지는 일을 말하고, 살은 무엇을 저격하는 것을 말한다. 특수적이기 때문에 사주팔자의 이론과는 좀 먼 것이다. 신은 한자로 '귀신'이라는 뜻으로, 평범한 상태에서 왠지 마치 귀신같이 좋은 운이 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귀인(貴人)이라고도 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사람에게 귀한 운이 온다는 뜻이다. 가장 대표적인 신으로 천을귀인(天乙貴人), 천덕귀인(天德貴人), 월덕귀인(月德貴人)이 있다. 이 세 가지 말고도 월공귀인(月空貴人), 문창귀인(文昌貴人), 천의귀인(天醫貴人), 암록귀인(暗祿貴人), 삼기귀인(三奇貴人) 등이 있다.
천을귀인
천을귀인(天乙貴人)은 하늘의 은덕을 입는 귀인이며, 여러 신 중에서는 가장 강한 신이다.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지지가 다음과 같이 있으면 천을귀인이 온다.
천덕귀인
천덕귀인(天德貴人)은 모든 종류의 악행, 재난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주는 수호천사의 기능을 하여, 피해를 볼 때 남들보다 적게 피해를 보는 기운이다.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천간이나 지지가 다음과 같이 있으면 천덕귀인이 온다. 정리하자면 생지(生支)인 인목(寅木)과 신금(申金), 사화(巳火)와 해수(亥水)가 월지에 있을 때 자기 다음 계절의 기운을 가진 음간이 한 자리 이상 있으면 천덕귀인이 생기고, 왕지(旺支)인 자수(子水)와 오화(午火), 묘목(卯木)과 유금(酉金)이 월지에 있을 때 자기 반대 계절의 생지가 한 자리 이상 있으면 천덕귀인이 생기며, 고지(庫支)인 진토(辰土)와 술토(戌土), 축토(丑土)와 미토(未土)가 월지에 있을 때 자기 앞 계절의 기운을 가진 양간이 오면 천덕귀인이 생긴다.
월덕귀인
월덕귀인(月德貴人)은 달의 덕을 입음으로써 주로 명예, 품성과 성향과 관련된 귀인이다. 월지를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천간이 다음과 같이 있으면 월덕귀인이 온다. 정리하자면 월지 자리에 삼합으로 목국(木局)으로 구성하는 지지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갑목(甲木)이 한자리 이상 있고, 삼합으로 화국(火局)으로 구성하는 지지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병화(丙火)가 한자리 이상 있고, 삼합으로 금국(金局)으로 구성하는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경금(庚金)이 한자리 이상 있고, 삼합으로 수국(水局)으로 구성하는 지지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임수(壬水)가 한 자리 이상 있다면 월공귀인의 기운이 온다.
월공귀인
월공(月空)은 마치 하늘에 달이 떠 있으면 모든 사람이 바라보듯이, 무대에 서서 남의 시선을 한 몸에 받게 되는 기운을 말한다. 월지를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천간이 다음과 같이 있으면 월공귀인이 온다. 정리하자면 월지 자리에 삼합으로 목국(木局)으로 구성하는 지지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경금(庚金)이 한자리 이상 있고, 삼합으로 화국(火局)으로 구성하는 지지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임수(壬水)가 한 자리 이상 있고, 삼합으로 금국(金局)으로 구성하는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갑목(甲木)이 한자리 이상 있고, 삼합으로 수국(水局)으로 구성하는 지지 세 가지 중 하나일 때, 병화(丙火)가 한자리 이상 있다면 월공귀인의 기운이 온다.
문창귀인
문창(文昌)은 종이를 가지고 하는 모든 행위에 재능을 의미해, 공부 실력이 좋은 기운을 말한다.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지지가 다음과 같이 있으면 문창귀인이 온다. 정리하자면 목(木)·화(火)·금(金)·수(水)의 기운을 가진 일간은 그 일간이 해당하는 오행의 계절의 다음 계절의 기운을 가진 오행이고, 음양이 같은 정기의 기운을 가진 지지가 들어가면 문창귀인의 기운이 오고, 토(土)의 경우에는 화토동법(火土同法)에 의해 화(火)의 기운과 같이 보면 된다. 이때, 문창귀인의 기운이 올 때, 일간이 목(木)·토(土)·금(金)·수(水)의 기운을 가진 일간이라면 그 지지와는 식신(食神) 관계이고, 화(火)의 기운을 가진 일간이라면 그 지지와는 편재(偏財) 관계이다.
천의귀인
천의(天醫)는 하늘의 의사를 만나는 귀인이며, 이는 곧 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귀인이다. 월지를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지지가 다음과 같이 있으면 천의귀인이 온다. 천의귀인은 천문귀인(天文貴人)이라고도 한다. 정리하자면 해당 월지의 기운의 앞 달의 기운이 오는 지지가 세 자리 중 하나 이상 있으면, 천의귀인의 기운이 온다.
암록귀인
암록(暗祿)은 마치 감추어진 녹봉처럼, 남들 모르게 은밀하게 들어오는 조력이나 돈이 오는 기운이다. 일간을 기준으로 그 짝에 해당하는 지지가 다음과 같이 있으면 암록귀인이 온다. 정리하자면 일간이 순서대로 순행할 때, 지지는 해수(亥水)부터 거꾸로 역행하며, 이때 토는 화토동법으로 인해 병화(丙火)와 무토(戊土), 정화(丁火)와 기토(己土)는 같은 지지가 오면 같은 암록귀인이 오며, 왕지(旺支)로는 암록귀인을 불러올 수 없다.
삼기귀인
삼기귀인(三奇貴人)은 고대 사술의 일종인 기문(奇門)에서 유래한 귀인인데, 현대에는 배움에 특화된 기운이 된다. 연간-월간-일간, 또는 월간-일간-시간이 다음과 같이 일치하면 삼기귀인이 온다. 갑목(甲木)-무토(戊土)-경금(庚金)이 연간-월간-일간, 또는 월간-일간-시간 자리에 순서대로, 아니면 거꾸로 배치되면 천상 삼기(天上三奇)가 이루어진다. 을목(乙木)-병화(丙火)-정화(丁火)가 연간-월간-일간, 또는 월간-일간-시간 자리에 순서대로, 아니면 거꾸로 배치되면 인중 삼기(人中三奇)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금(辛金)-임수(壬水)-계수(癸水)가 연간-월간-일간, 또는 월간-일간-시간 자리에 순서대로, 아니면 거꾸로 배치되면 지하 삼기(地下三奇)가 이루어진다.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의 뜻과 종류(역마살, 도화살, 화개살, 귀문관살, 원진살, 양인살, 괴강살, 백호대살, 공망살, 천라지망살) (1) | 2023.07.12 |
---|---|
사주풀이 기본용어 (간지, 지장간, 십이운성, 십성, 대운, 용신, 십이신살) (0) | 2023.07.02 |
‘사주팔자’란 무엇인가 (0) | 2023.07.01 |